Skip to Content

Redis

Redis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키-값 저장소 작업, 캐싱, 데이터 조회 및 관리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주요 기능

  • Redis 명령어 실행
  • 키-값 데이터 조작
  • 리스트, 셋, 해시 등 다양한 데이터 타입 지원
  • JSON 데이터 처리
  • 벡터 데이터 저장 및 조회
  • 검색 인덱스 관리

기본 정보

인증 방식

Redis 연결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합니다.

입력 파라미터

  • Host (필수): Redis 서버 호스트
  • Port (필수): Redis 서버 포트 (기본값: 6379)
  • Password (선택): Redis 인증 비밀번호
  • Database (선택):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번호 (기본값: 0)
  • Cluster Mode (선택): 클러스터 모드 사용 여부

지원하는 MCP 도구

run_command

Redis 명령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반환합니다.

입력 파라미터:

  • commandText (필수): 실행할 Redis 명령어

지원하는 명령어:

기본 명령어

  • GET: 키의 값을 조회합니다
  • SET: 키에 값을 설정합니다
  • DEL: 키를 삭제합니다
  • TYPE: 키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합니다
  • EXPIRE: 키에 만료 시간을 설정합니다
  • RENAME: 키의 이름을 변경합니다

리스트 명령어

  • LPUSH: 리스트의 왼쪽에 요소를 추가합니다
  • RPUSH: 리스트의 오른쪽에 요소를 추가합니다
  • LPOP: 리스트의 왼쪽에서 요소를 제거하고 반환합니다
  • RPOP: 리스트의 오른쪽에서 요소를 제거하고 반환합니다
  • LRANGE: 리스트의 범위 내 요소들을 조회합니다
  • LLEN: 리스트의 길이를 반환합니다

셋 명령어

  • SADD: 셋에 멤버를 추가합니다
  • SREM: 셋에서 멤버를 제거합니다
  • SMEMBERS: 셋의 모든 멤버를 조회합니다

해시 명령어

  • HSET: 해시 필드에 값을 설정합니다
  • HGET: 해시 필드의 값을 조회합니다
  • HGETALL: 해시의 모든 필드와 값을 조회합니다
  • HDEL: 해시 필드를 삭제합니다

정렬된 셋 명령어

  • ZADD: 정렬된 셋에 멤버를 추가합니다
  • ZREM: 정렬된 셋에서 멤버를 제거합니다
  • ZRANGE: 정렬된 셋의 범위 내 멤버들을 조회합니다

정보 명령어

  • INFO: Redis 서버 정보를 조회합니다
  • DBSIZE: 현재 데이터베이스의 키 개수를 반환합니다
  • CLIENT_LIST: 연결된 클라이언트 목록을 조회합니다

JSON 명령어

  • JSON.SET: JSON 데이터를 설정합니다
  • JSON.GET: JSON 데이터를 조회합니다
  • JSON.DEL: JSON 데이터를 삭제합니다

검색 명령어

  • FT.INFO: 검색 인덱스 정보를 조회합니다
  • FT.SEARCH: 검색 인덱스에서 검색을 수행합니다
  • FT.CREATE: 검색 인덱스를 생성합니다

벡터 명령어

  • SET_VECTOR: 벡터 데이터를 설정합니다
  • GET_VECTOR: 벡터 데이터를 조회합니다
  • GET_INDEXES: 인덱스 목록을 조회합니다

기타 명령어

  • PUBLISH: 메시지를 발행합니다

사용 예시

예를 들어,

  • Prompt로 “Redis에서 ‘user:123’ 키의 값을 조회해줘” 라고 입력하면,
  • LLM은 MCP를 통해 run_command 도구를 호출하여 GET user:123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
  • 그리고, Tool 호출 결과를 기반으로 채팅에서 응답합니다.

주의사항

  • Redis 비밀번호는 안전하게 보관하세요.
  • 대용량 데이터 조회 시 성능에 주의하세요.
  • 데이터 수정 명령어 사용 시 신중하게 검토하세요.
  •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세요.
Last updated on